오늘 TIL 3줄 요약
- 서버란 무엇인가
- 쿠키
- 프론트 , 백엔드 어떻게 접근할 것 인가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 16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 에피소드 17 : 아, 쿠키가 먹는 게 아니라고요?
- 에피소드 18 : 프런트엔드, 백엔드?
- 에피소드 19 : 서버가 뭔지 아직도 모른다고?
- 에피소드 20 : 슈퍼개발자만 할 수 있다, 풀스택?
- 에피소드 21 :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HTTP ??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소통하기 위한 규칙)
stateless 다 - 항상 연결 된 상태가 아니라 , 클리언트가 데이터를 요청하면(브라우저에 주소를 치면)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연결이 끊어진다.
쿠키 ??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해서, 다음에 같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요구할때 사용하기 위한 도구.
쿠키의 규칙 -
1. 도메인(서비스)당 1개.
2. 쿠키는 자동으로 발급
3.쿠키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저장.
서버리스 serverless ??
기존의 서버는 실제 회사에서 직접 구매해서 관리 해야 했지만(비용이 많이 듬),
아마존의 ec2라는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서버를 대신 운영해주게 되었다.(최신 서버를 정전 , 사고 없이 안전하게 제공, 관리해 주고 서버의 메모리도 원하는 만큼 신청해서 사용 가능하다.)
아마존 - AWS 람다 , 구글 클라우드 펑션, 아펙스, 테라폼 등..
서버리스는 함수 단위로 서버의 소프트웨어를 쪼개서, 필요할때 요청해야 한다. 단 요청이 없을시에는 함수들이 비 활성 상태로 대기한다.(잠들어 잇는 서버를 깨우는 시간이 필요하다 - 콜드 스타트)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개발 공부를 하고 있는데 , 프론트와 백엔드중 어느쪽을 더 지향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개발자 취업하려면 어느 정도 준비가 필요하고 요구되는지 궁금하다.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
https://nomadcoders.co/community/thread/6476
'책을 읽자 > 노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개북 - 챕터 26~29 (1) | 2023.01.21 |
---|---|
노개북 - 챕터 22~25 (0) | 2023.01.19 |
챕터 6 -10 (0) | 2023.01.15 |
챕터 1 ~ 5 (0) | 2023.01.14 |
책을 읽자 - 노개북 (1)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