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TIL 3줄 요약
- 자료 구조, 알고리즘 이란?
- 알고리즘의 종류들
- 배열의 저장 방식
오늘 읽은 범위
챕터 22~25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백엔드에서 내려받은 JSON 데이터를 보기 좋게 화면에 띄우는 역할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이터 형태에 알맞는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자료구조 중 하나인 배열의 특징을 알려면 읽기, 검색, 추가, 삭제 과정에서의 시간 복잡도 개념을 알아야 한다.
(시간 복잡도는 프로그램 작업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알고리즘으로 작업을 완료할 때 까지 걸리는 절차 수 N을 이용해서 O(N), 0(log N)과 같이 표현하는 것을 Big-0 빅오 표기법이라고 한다.)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변수, 함수 등)는 휘발성 메모리인 램에 저장된다. 특히 램에 데이터가 접근하는 속도는 매우 안정되고 빠른데, 데이터가 저장될때 각각 저장되는 주소와 함께 저장되기 때문이다.
(주소를 알면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배열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면 , 저장 순서대로 삽입 삭제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리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컴퓨터 하드웨어에 프로그램을 어떤 방식으로 저장하고 읽어오는지 ,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 웹개발 공부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겠다고 생각되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스택, 힙, 콜스택 등 자바스크립트 구동시 브라우저가 어떤 방식으로 코드를 읽어나가는지 구체적으로 궁금해졌다.
'책을 읽자 > 노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개북 챕터 35~38 (0) | 2023.01.24 |
---|---|
노개북 - 챕터 26~29 (1) | 2023.01.21 |
챕터 16-20 (2) | 2023.01.18 |
챕터 6 -10 (0) | 2023.01.15 |
챕터 1 ~ 5 (0) | 2023.01.14 |